[목차]
1. 개요
2. 포털사이트 활용
2.1. 네이버
2.2. 다음
3. 한국예탁결제원 SEIBro 활용
4. 한국거래소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활용
5. 코스콤 ETF Check 활용
6. 마무리
1. 개요
국내에 상장되어 있는 ETF 리스트를 찾고 각 종목의 정보에 대하여 조회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3월 12일 현재 국내 상장되어 있는 ETF 종목은 총 547 종목입니다.
2. 포털사이트 활용
2.1. 네이버
네이버 초기화면 검색창에서 ‘ETF’라고 입력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ETF 증권정보 섹션 화면이 보입니다. 이 화면에서 오른쪽 하단의 '더보기'를 클릭하면 모든 ETF 종목 리스트가 나옵니다.
또는 네이버 초기화면 검색창에서 ‘네이버 ETF’라고 입력하면 아래의 사진과 같이 화면 상단에 ETF 종목 리스트 사이트로 바로 갈 수 있는 사이트가 뜹니다. 이 사이트를 클릭하여도 모든 ETF 종목 리스트를 볼 수 있습니다.
네이버 ETF 화면에 들어가면 ETF에 대한 의미와 장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습니다.
ETF란? ETF(상장지수펀드)는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것이 목표인 인덱스펀드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서 개별주식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주식계좌를 통해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그 구성종목과 수량 등 자산구성내역(PDF)이 투명하게 공개되어 있고, 장중에는 실시간으로 순자산가치(NAV)가 제공되어 거래에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ETF는 1좌를 거래할 수 있는 최소한의 금액만으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릴 수 있어 효율적인 투자수단이며, 펀드보다 운용보수가 낮고 주식에 적용되는 거래세도 붙지 않습니다.
또한 ETF 전체 리스트뿐만 아니라 국내 시장지수, 국내 업종/테마, 국내 파생, 해외 주식, 원자재, 채권, 기타 등 종류별로 구분된 ETF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종목을 클릭하여 들어가면 각 종목의 종가, 차트, 월별 수익률, NAV 괴리율, 추적오차율, PDF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ETF 종목의 현재가, 전월비, 등락률, NAV, 3개월 수익률, 거래량, 거래대금, 시가총액 등의 내용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클릭하면 금액대별로 수익률별로, 거래량 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3개월 수익률을 누르면 수익률이 낮은 ETF 종목부터 순차적으로 정열이 되며, 3개월 수익률을 다시 한번 누르면 수익률이 높은 ETF 종목부터 순차적으로 정열 됩니다.
거래량도 클릭을 하면 거래량이 적은 ETF 종목부터 정열 되며, 다시 거래량을 클릭하면 거래량이 높은 ETF 종목부터 정열 됩니다.
2.2. 다음
다음 초기화면 검색창에서 ‘ETF’라고 입력하면 네이버와 마찬가지로 ETF 증권정보 섹션 화면이 보입니다. 이 화면에서 오른쪽 하단의 증권정보 더보기를 클릭하면 모든 ETF 종목 리스트가 나옵니다.
다음 ETF 화면에 들어가면 ETF 종목명, 현재가, 전일비 등락률, 거래량, 거래대금(백만), 52주 고가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네이버의 경우 한 화면에서 547 종목을 모두 볼 수 있으며, 여러 가지 검색 조건에 따른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으며, 네이버의 경우 52주 고가가 정리되어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한국예탁결제원 SEIBro 활용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 포털사이트인 SEIBro(https://seibro.or.kr)에서 ETF 정보를 찾는 방법입니다.
SEIBro 홈페이지에서 ETF 콘텐츠를 클릭합니다.
시장지수, 투자전략, 스타일, 섹터, 그룹주, 테마, 파생상품, 해외지수, 채권, 상품, 통화 등 유형별 ETF 검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등 운용사별로 ETF를 검색할 수도 있습니다.
설정기간, 순자산, 총보수를 기준으로 한 검색도 가능합니다. 3년간의 ETF 분배금(배당금) 정보도 검색하여 볼 수 있습니다.
4. 한국거래소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활용
한국거래소 정보데이터시스템(http://data.krx.co.kr)에서도 ETF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초기화면에서 ETF를 클릭하면 전종목 시세, 전종목 등락률, 개별종목 시세 추이, 투자자별 거래실적, 투자자별 거래실적(개별종목), PDF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ETF 콘텐츠 안에서도 세부 안내를 클릭하면 ETF 상세검색, 액티브 ETF 실적, 액티브 ETF 편입자산 현황, 추적오차율 추이, 합성 ETF 거래상대방 위험, 합성 ETF 기초지수 및 담보관리, 분기별 LP 평가 등의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ETF 상세검색에서는 종목별로, 섹터별로, 기초자산별로, 과세유형별로 검색이 가능하며 최대 5년간 수익률도 조회 가능합니다.
5. 코스콤 ETF Check 활용
코스콤 ETF Check 사이트(https://www.etfcheck.co.kr)도 ETF 투자를 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 상장된 ETF는 K-ETP (Korea ETP), 해외에 상장된 ETF는 G-ETP (Global ETP)라고 명명하여 국내 상장 된 ETF 뿐만 아니라 미국 ETF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ETF 상품 비교 콘텐츠에서는 국내, 해외에 상장한 ETF 상품들의 수익률, 배당금, 비용 등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당일 수익률, 1주 수익률, 1개월 수익률, 3개월 수익률에 대한 ETF TOP 20 종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ETF 종목 찾기에서는 애플 주식에 투자하는 ETF, 삼성전자의 ETF 편입 비중 등 특정 종목이 포함되어 있는 ETF 및 ETF에서의 편입 비중을 찾을 수 있습니다. 국내 및 미국의 고배당 ETF도 순위별로 안내해 줍니다.
ETF Check는 모바일에서 최적화되어 있으므로 구글 플레이스토어 또는 애플 스토어에서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활용하기를 권장합니다.
6.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 투자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사이트로 네이버 및 다음 사이트, 한국예탁결제원 SEIBro, 한국거래소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코스콤 ETF Check 활용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습니다. 모두들 성투하시기 바랍니다.
[관련 글]
ETF란, ETF 장점, 도입시기(ETF・펀드・주식 비교)
ETF NAV, iNAV, 괴리율, 추적오차율(ETF 투자지표, 기초용어 알기)
IRP 수익률 2월 결산, 개인퇴직연금 수익률 비교해보니…
ELS 수익률 연 9% 기대, 키움 ELS 제1884회 제1885회 청약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본인의 분석과 판단 하에 현명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투자를 위한 건전한 토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공감)과 댓글, 공유하기는 포스팅을 지속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ETF >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 종목 분석하기, KODEX 반도체 종목 분석표 실례 (ft. 샌드타이거샤크) (4) | 2022.03.15 |
---|---|
ETF 단점,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9가지 (4) | 2022.03.14 |
ETF 투자하는 방법, MTS・HTS 투자 절차 및 거래 방법 (4) | 2022.03.12 |
ETF NAV, iNAV, 괴리율, 추적오차율(ETF 투자지표, 기초용어 알기) (4) | 2022.03.07 |
ETF란, ETF 장점, 도입시기(ETF・펀드・주식 비교) (24) | 2022.03.06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