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ETF란 무엇인가
3. ETF 장점
    3.1. 지수연동형 상품으로 투자 용이성
    3.2. 주식투자와 동일한 환금성
    3.3. 낮은 거래비용에 따른 장기 수익성
    3.4. 분산 효과에 따른 투자 효율성
    3.5. 펀드 운용의 투명성
4. ETF 도입 시기
5. 마무리

 

1. 개요

ETF란 무엇인지, ETF는 왜 좋은 투자 수단인지, 언제 도입됐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ETF, 펀드, 주식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2. ETF란 무엇인가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서 상장지수펀드라고 합니다. KOSPI 200과 같은 특정 지수 및 특정 자산의 가격 움직임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펀드(Index Fund)'로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되는 펀드를 말합니다. 

ETF는 펀드로서의 특성과 주식으로서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ETF 장점
ETF 장점

 

3. ETF 장점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는 인덱스 펀드의 장점인 분산투자, 낮은 거래 비용, 투명성, 매매 편의성 등을 두루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이 부각되면서 ETF는 21세기 최고의 금융상품으로 불리며 미국을 비롯해 유럽, 아시아, 남미 등 전 세계로 시장을 넓히며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ETF는 어떤 장점이 있을까요?

 

    3.1. 지수연동형 상품으로 투자 용이성

ETF는 기초 지수가 변동하면 그 비율만큼 ETF의 가격이 변동합니다. 그러므로 ETF는 주식시장 전체 또는 특정 산업의 업황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고 개별 기업 투자에 따르는 투자 위험과 가격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ETF는 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투자로서 투자 판단이 쉽습니다.

 

    3.2. 주식투자와 동일한 환금성

투자자는 일반적인 주식형 펀드 투자와는 달리, 장중에 언제든지 실시간으로 ETF 매매를 통해 실시간 펀드 투자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즉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기 때문에 주식 시장이 열려있는 동안에는 언제라도 매매 가능하여 시장 변동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ETF, 펀드, 주식 비교]

구분 ETF 펀드 주식
투명성 높음(PDF 공시) 낮음 높음
결제주기 T+2 T+3~8 T+2
거래비용 위탁수수료 및 총보수
(0.15~0.93%)
총보수(1~3%) 위탁수수료
매매시 세금 없음 소득세
(보유기간과세 15.4%)
거래세
(매도시 0.25%)
위험 시장위험 시장위험 시장개별위험
장중 거래 가능 불가 가능
거래처 증권사 판매사 증권사

 


    3.3. 낮은 거래비용에 따른 장기 수익성

ETF는 일반 주식형 펀드 대비 우수한 장기 수익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의 한 연구에 의하면 1984년부터 1998년까지 15년 동안 펀드매니저 200명 가운데 뱅가드 500 지수를 이긴 사람은 4%인 8명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또 2020년 10월 미국에서 발표된 보고서(SPIVA)에 따르면 지난 15년간 주식형 액티브펀드의 87.2%가 인덱스펀드보다 낮은 성과를 보였다는 것도 의미 있는 보고입니다.

개인 투자자가 10년 후까지 높은 수익을 올릴 펀드를 골라내기란 거의 불가능합니다. 그러므로 장기 투자 펀드를 선택할 때에는 시장 수익률을 안정적으로 추구하는 ETF가 가장 합리적인 투자 수단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낮은 거래 비용에 따른 장기 수익성을 가집니다. 아울러 증권 거래세가 면제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비용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3.4. 분산 효과에 따른 투자 효율성

ETF는 적은 금액으로 지수 수익률을 복제할 수 있습니다. 이에 투자자와 시장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주가지수와 비슷한 수익률을 낼 수 있도록 설계되어 분산 효과에 따른 투자 효율성을 볼 수 있습니다.


    3.5. 펀드 운용의 투명성

펀드 운용에 있어 투명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ETF는 기초 지수가 변동하면 그 비율만큼 ETF의 가격이 변동합니다. 그러므로 ETF는 주식시장 전체 또는 특정 산업의 업황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고 개별 기업 투자에 따르는 투자 위험과 가격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인 투자 상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ETF는 납입 자산 구성 내역 공시를 통해 매일 ETF의 포트폴리오를 확인할 수 있어 일반 펀드보다 투명합니다.

 

4. ETF 도입 시기

프로그램 매매에 의한 연쇄 주가 폭락이 지난 87년 블랙먼데이의 한 원인으로 지적됨에 따라 93년 1월 미국에서 처음 ETF가 선보였으며, 현재 독일, 영국, 스위스, 스웨덴, 호주, 뉴질랜드, 홍콩, 싱가포르 등 선진 증시에 도입돼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언제 도입되었을까요?

우리나라에는 지금으로부터 20년 전인  2002년 10월 ETF가 최초로 거래소에 상장되었다고 합니다. 현재 거래되고 있는 ETF 종목은 2022년 3월 3일 기준으로 무려 547 종목이나 됩니다.

 

 

5. 마무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ETF가 어떤 상품인지, 어떤 장점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았습니다. 필자는 투자의 90%를 ETF로 할 정도로  ETF 러버인데요. 편리하고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는 ETF는 장기 투자에도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여러분이 주식 초보자라면 ETF부터 접근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본인의 분석과 판단 하에 현명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투자를 위한 건전한 토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공감)과 댓글, 구독하기는 포스팅을 지속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