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목적
원자재 선물 중에서 금 선물(Gold Futures) 가격을 기초로 하는 S&P GSCI Gold TR 지수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함을 그 운용목적으로 하는 특별자산 상장지수 투자신탁[금-파생형]입니다.
운용목적
스탠다드앤푸어스(Standard&Poor's)가 산출하는 S&P GSCI Gold Total Return 지수는 S&P GSCI Total Return 지수의 귀금속 섹터의 하위 지수 중 하나로 뉴욕 상품거래소(COMEX)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금 선물의 가격을 기준으로 산출되는 지수로서, 동 ETF는 금 현물이 아닌 금 선물에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대부분의 자산은 금 선물로 이루어지며 일부 골드 ETF를 편입합니다. 한편, 금 선물 가격 움직임만을 반영하고 환율 변동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환헤지(H)를 실시합니다.
기본정보
- 시가총액 : 2,093억 원
- 수수료 : 연 0.680%
- 기초지수 : S&P GSCI Gold Total Return
- 환헤지 : 있음
- 수익률 : 1개월(3), 3개월(6.93), 6개월(9.3), 1년(10.14), 2년(23.37), 3년(37.84)(기준일 : 2022. 3. 17, 단위 : %)
- 52주 최고가 : 13,525원
- 52주 최저가 : 11,420원
- 분배금(배당금) : 없음
PDF(구성종목)
COMEX (미국 상품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골드선물 가격에 연동됩니다. 금 현물 가격과 선물 가격의 차이, 선물의 롤오버(월물교체) 거래로 인하여 금 현물 직접투자 수익률과 차이가 날 수 있으며, 기초지수인 ‘S&P GSCI Gold Index Total Return’은 위와 같은 차이가 반영된 지수입니다.
롤오버 시기에 차근월물의 가격이 보유 중인 최근월물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을 경우 (contango 상황) 보유 중인 최근월물을 낮은 가격에 매도하고 차근월물을 높은 가격으로 매수하게 되어 최근월물과 차근월물의 가격 차이만큼 비용이 발생하므로 직접 금 현물에 투자하였을 경우보다 수익률이 저조할 수 있습니다
최근 10년 차트 분석
지난 10년간 차트를 보니 최고점인 것이 확인되고 있습니다. 2020년 8월 7일 14,370원을 기록한 바 있으며, 52주 최고가는 13,525원이었습니다. 3월 18일 종가는 13,080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상 KODEX 골드선물(H)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필자는 KODEX 골드선물(H) ETF에 투자하고 있는데 수익률이나 향후 전략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관련 글]을 보시겠어요?
"안전자산으로" 금 ETF 고공행진, 그러나 KODEX 골드선물 매도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본인의 분석과 판단 하에 현명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투자를 위한 건전한 토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공감)과 댓글, 공유하기는 포스팅을 지속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ETF > 국내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차전지 ETF 수익률 1위는?/KODEX 차이나 2차전지 MSCI 신규 상장 (6) | 2022.03.21 |
---|---|
에너지 ETF 수익률 정리/KODEX 미국 클린 에너지 나스닥 신규 상장 (3) | 2022.03.20 |
샤오미, 알리바바 등 중국 빅테크에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항셍테크 ETF (3) | 2022.03.17 |
3개월 65% 수익 팔라듐 ETF 뭐지? 미국 팔라듐 ETF도 알아보자 (2) | 2022.03.09 |
‘히어로즈 단기채권 ESG 액티브’ ETF 신규 상장 (22) | 2022.03.04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