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팔라듐이란
3. 왜 팔라듐이 이슈인가?
4. 국내 팔라듐 ETF 종목
4.1. KBSTAR 팔라듐 선물(H) ETF
4.2. KBSTAR 팔라듐 선물 인버스(H) ETF
5. 미국 팔라듐 ETF 종목
6. 팔라듐 투자전략
7. 마무리
1. 개요
팔라듐 ETF의 수익률이 고공행진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호기심 많은 필자는 이 팔라듐이 무엇에 쓰는 물건인지, 왜 이렇게 폭등하고 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팔라듐 ETF의 수익률을 검색해보니 3개월 만에 무려 65%의 수익률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정도면 국내 상장된 547개 ETF 중 1위를 기록할 만한데요.
아… 또 투자 기회를 놓쳤습니다. 아는 것이 힘인데, 팔라듐이 뭔지도 모르는 무식쟁이인 필자는 당장 팔라듐이 무엇인지, 팔라듐 ETF는 어떻게 투자를 해야 현명한 것인지 알아보았습니다.
2. 팔라듐이란
팔라듐(Palladium)은 주기율표 10족에 속하는 백금족 원소로, 1803년 영국의 화학자 윌리엄 H. 울러스턴이 조제백금(粗製白金)으로 백금을 만들다가 발견해 분리한 금속이라고 합니다. 이름의 유래는 1802년 올버스가 발견한 소행성 팔라스의 이름을 따서 팔라듐(Palladium)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네요.
팔라듐은 광택이 있는 은백색의 금속으로 전성 및 연성이 풍부합니다. 주로 치과 소재로 쓰이며, 은니에는 20% 이상의 팔라듐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백금과 외관이 비슷하면서도 가격은 1/4~1/3 정도라서 반지 등의 액세서리에도 많이 이용됩니다. 그러나 과거에나 그랬지 지금은 백금보다 세 배 가까이 비싸다고 하네요.(나무위키의 도움을 받아 작성)
3. 왜 팔라듐이 이슈인가?
팔라듐이 이렇게 이슈가 되고 있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바로 돈이 되기 때문이죠. 네이버에서 팔라듐 ETF의 수익률을 검색해보니 3개월간 무려 65%가 상승했는데요. 원자재로 대표되는 상품 중의 하나인 금 ETF의 3개월 수익률이 11%인 것과 비교하면 입이 떡 하고 벌어질 만합니다. 위기에는 금 수익률이 높다고 하는데 제가 보유한 금 ETF의 수익률은 20% 초반대로 팔라듐과 비교하면 낮은 수준입니다. 더군다나 금 ETF를 보유한 것은 2년도 넘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팔라듐 가격이 이렇게 고공행진하고 있는 이유를 알아볼까요?
팔라듐은 자동차의 매연을 감축시키는 촉매제의 필수 원료이기 때문에 자동차 매연 저감장치에 필수적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매연 감축 필요성이 커지면 값도 같이 뛰겠지요.
유럽 각국 정부가 친환경 정책을 강화하는 과정에서 팔라듐 수요도 함께 늘고 있습니다. 또 세계 최대 자동차 시장인 중국의 배기가스 규제 동참이 팔라듐 수요 증가에 한몫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러시아가 팔라듐 최대 생산국인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산 팔라듐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우려 속에 가격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또한 러시아 다음으로 팔라듐을 많이 생산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정전이 잦아지며 팔라듐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는 점도 팔라듐 값 상승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4. 국내 팔라듐 ETF 종목
국내에 상장된 팔라듐 ETF는 단 2종목으로, KBSTAR 팔라듐 선물(H)과 KBSTAR 팔라듐 선물 인버스(H)가 있습니다. 이 종목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4.1. KBSTAR 팔라듐 선물(H) ETF
FnGuide에 의하면 KBSTAR 팔라듐선물(H) ETF는 팔라듐 선물(Palladium Futures)의 가격 수준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S&P GSCI 팔라듐 ER지수(S&P GSCI Palladium Excess Return Index)를 기초지수로 하여 1좌당 순자산가치의 변동률을 기초지수의 변동률과 유사하도록 투자신탁재산을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P GSCI 팔라듐 ER지수(S&P GSCI Palladium Excess Return Index)는 시카고 상업거래소(CME)에 상장된 팔라듐 선물 최근월종목의 가격과 동일하게 연동하는 지수입니다, ETF의 설정 단위는 5만 좌이며, 현금 설정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아래의 사진에서 보듯이 3개월 수익률이 무려 65.81%입니다. 1개월 수익률 또한 39.23%로 놀라운데요. 6개월 수익률은 31.85%, 1년 수익률은 31.37%입니다. 3월 8일 종가 기준으로 1만 7800원이며, 거래량은 10만 4689주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무래도 이 종목에 대한 관심이 크다보니 오버 슈팅되어 괴리율이 6.8%로 다소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추적오차율은 1.6% 정도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4.2. KBSTAR 팔라듐 선물 인버스(H) ETF
또 다른 국내 팔라늄 ETF 종목으로 KBSTAR 팔라듐 선물 인버스(H)가 있습니다. 인버스인 만큼 음의 배수로 연동하기 때문에 상승에 따른 마이너스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3개월 수익률이 무려 -42.21%로 마이너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상품에 투자했다면 끔찍하겠네요. 1개월 수익률은 -29.18%, 6개월 수익률은 -32.45%, 1년 수익률은 -37.0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월 8일 종가 기준으로 3300원이며, 거래량은 4만 823주입니다.
개인적으로 인버스, 레버리지 상품을 좋아하지 않는데, 이런 상품들도 머리를 잘 굴리면 투자해볼 만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단 단기로 투자해야겠지요.
5. 미국 팔라듐 ETF 종목
미국 증시에서도 팔라듐 ETF의 수익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8일 ‘ Aberdeen Standard Physical Palladium Shares ETF(티커 PALL)’는 5.47% 오른 295달러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는 52주 신고가 기록을 세운 것이라고 분석되는데요, 2월 28일~3월 4일까지 미국 상장 ETF 중 수익률 2위를 기록했다고 하네요.
아래의 그림에서 보듯이 3개월 수익률은 51%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개월 수익률은 13.19%, 연초 이후 41.62%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운용수수료는 0.6%로 다수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6. 팔라듐 투자전략
필자의 경우 원자재를 자산배분 시 10% 이하로 편입하고 있습니다. 보통 전문가들도 5~15% 정도를 보유하는 것을 추천하더군요.
현재 원자재로서 보유하고 있는 종목은 금인데요. 팔라듐만큼의 수익을 보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역사는 반복될 텐데요. 경기의 흐름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현명한 투자를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 번째 전략은 팔라듐이 오버슈팅되었다고 판단될 때 인버스를 매매합니다. 이게 하락 구간에서 매수하겠다는 의미인데 그 시기를 언제로 할지는 참 고민이 됩니다. 게다가 필자의 경우 보수적인 투자자이기 때문에 인버스 매매에 손이 갈지는 의문이 드네요.
두 번째 전략은 이번 흐름을 유심히 지켜보고 다음을 도모하는 전략입니다. 52주 신고가로 온 종목에 대하여서는 투자를 조심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데요. 필자는 청개구리 투자법을 선호하기 때문에 싸다고 판단될 때 매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① 러시아에 위기가 올 때에는 팔라듐과 원유에 대한 관심을 갖습니다.
②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팔라듐에 대한 수요도 커집니다.
7. 마무리
주식 투자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아는 것이 힘이라는 논리가 명백하게 적용되는 분야가 이쪽이 아닌가 싶습니다.
원자재에 투자하는 방법은 다양한데요, 이번 기회에 팔라듐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습니다.
팔라듐이 하늘을 찌를 때 인버스에 투자하는 것도 하나의 아이디어일 텐데 인버스에 투자하는 것은 왠지 무서운 상황이네요.
우리 투자자는 세계 경제 흐름을 놓치지 않고 파악하면서 여러 가지 투자방법에 대하여 고민하고 공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다음에 또 이런 유사한 사태가 벌어질 때 이기는 투자를 할 수 있을 테니까요.
♣ ETF가 무엇인지 궁금한 주린이라면 아래의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TF/기초] - ETF란, ETF 장점, 도입시기(ETF・펀드・주식 비교)
[ETF/기초] - ETF NAV, iNAV, 괴리율, 추적오차율(ETF 투자지표, 기초용어 알기)
※ 이 글은 투자를 권유하는 것이 아닙니다. 투자의 최종 책임은 본인에게 있으므로 본인의 분석과 판단 하에 현명하게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투자를 위한 건전한 토의는 언제든지 환영합니다.
※ ♡(공감)과 댓글, 구독하기는 포스팅을 지속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기 바랍니다.
'ETF > 국내종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ETF 수익률 정리/KODEX 미국 클린 에너지 나스닥 신규 상장 (3) | 2022.03.20 |
---|---|
고공행진 금값, KODEX 골드선물(H) 알아보자 (9) | 2022.03.19 |
샤오미, 알리바바 등 중국 빅테크에 투자하는 TIGER 차이나항셍테크 ETF (3) | 2022.03.17 |
‘히어로즈 단기채권 ESG 액티브’ ETF 신규 상장 (22) | 2022.03.04 |
KINDEX S&P 아시아 TOP50 → KINDEX 아시아 TOP50 S&P로 종목명 변경 (20) | 2022.03.03 |
최근댓글